* autoweire
autoweire 속성을 사용하여 스프링컨테이너가 조건에 만족하는 객체를 찾을 수 있도록 설정해준다
byType, byName 을 이용하여 의존 객체를 자동으로 가져올 수 있다
autoweire="byType" : 같은 자료형을 갖는 객체를 가져온다
autoweire="byName" : 같은 이름을 갖는 객체를 가져온다
xml 파일
<!--byType-->
<bean name="typeTest" class="spring.TypeTest" autowire="byType"/>
<bean name="apple" class="spring.Apple"/>
<!--byName-->
<bean name="nameTest" class="spring.NameTest" autowire="byName"/>
<bean name="apple" class="spring.Apple"/>
-> byType
TypeTest 클래스에는 Apple클래스 객체 자료형의 초기값을 설정해주는 setter 메소드가 존재한다
autowire 속성을 통해 같은 자료형인 Apple클래스 객체를 얻어와 의존성 주입을 자동으로 해준다
-> byName
autowire 속성을 통해 TypeTest 클래스의 멤버변수 이름과 apple이 같으므로 의존성 주입을 자동으로 해준다
추상( abstract="true" )
추상클래스임을 알려주는 옵션으로 해당 클래스의 빈객체를 생성하지 않는다
<bean id="test" class="Test" abstract="true">
<property name="time" value="10"/>
<property name="count" value="5"/>
</bean>
상속관계
Cake(부모클래스) - CheeseCake(자식클래스) 라고 했을때,
<!--부모 빈즈-->
<bean id="cake" class="spring.Cake">
<property name="count" value="5"/>
</bean>
<!--자식 빈즈-->
<!--부모의 멤버변수 그대로 사용 -->
<bean id="cheese1" parent="cake" />
<!--오버라이딩 -->
<bean id="cheese2" parent="cake">
<property name="count" value="10" />
</bean>
-> 이때 parent="부모 빈즈의 id 혹은 name" 을 부여한다.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어노테이션)@PostConstruct, @PreDestroy, @Component, @Configuration, @Bean (0) | 2021.03.31 |
---|---|
[Spring]어노테이션)@Required, @Autowired, @Inject, @Resource (0) | 2021.03.31 |
[Spring]DI설정) Set, Properties, Map 객체 자료형 (0) | 2021.03.29 |
[Spring]DI설정) 객체 참조, List객체 자료형 (0) | 2021.03.25 |
[Spring]DI설정) p-네임스페이스, c-네임스페이스, scope="prototype" (0) | 2021.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