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작성
2. 반복문
조건에 따라 반복하여 실행된다
while, do~while, for
-while
int i=1;
while(i<=5)
System.out.println("while구문 연습"+i++);
System.out.println("while 구문 종료");
//while구문 연습1
// ,,, 연습5
//while 구문 종료
-do ~ while
int i=1;
do{
System.out.println("do ~ while 구문 출력"+i);
i++;}
while(i<=5); //5번출력
-for
<형식>
//(1)
for(int i=1;i<5;i++)
System.out.println("(1)연습"+i);
//(2)
int i;
for(i=1;i<5;i++)
System.out.println("(2)연습"+i);
//(3)
int i=1;
for(;i<5;i++)
System.out.println("(3)연습"+i);
//(4)
int i=1;
for(;i<5;)
{System.out.println("(4)연습"+i);
i++;}
<무한루프>
//(5) while 무한루프
while(true)
//(6) for 무한루프
for(;;)
ex1) 1~100까지의 홀수, 짝수 합 구하기
int even_sum=0;
int odd_sum=0;
for(int i=1;i<=100;i++) {
if(i%2==0) even_sum+=i;
else odd_sum+=i;
}
System.out.println("짝수합:"+even_sum+"홀수합:"+odd_sum);
ex2) 구구단 출력(이중 for문)
for(int i=1;i<10;i++) {
System.out.println("<"+i+"단 입니다.>");
{
for(int j=1;j<10;j++)
System.out.printf("%d * %d = %d\n",i,j,i*j);
}
}
3. 탈출문
조건에 따라 탈출한다
break, continue, return
-break
for(int a=2;a<4;a++) {
for(int b=0;b<4;b++) {
if(b==2) break;
System.out.printf("a=%d, b=%d\n",a,b);
}
System.out.println("=============");
}
System.out.println("이중 for문 종료!");
//b=2가 되는 순간 안쪽 for문을 탈출한다
/* a=2, b=0
a=2, b=1
=============
a=3, b=0
a=3, b=1
=============
이중 for문 종료!
*/
//레이블이 있는 break문
//형식) 레이블명(대,소문자 구분):
A:
for (int a=2;a<4;a++) {
for(int b=0;b<4;b++) {
if(b==2) break A;
System.out.println("a="+a+",b="+b);
}
System.out.println("=============");
}
System.out.println("이중 for문 종료!");
/*
a=2,b=0
a=2,b=1
이중 for문 종료! */
-continue
어느 특정조건에 만족하는 continue문을 만나게 되면 continue문 이하 문장을 실행하지 않고 넘어간다
for(int a=2;a<4;a++) {
for(int b=0;b<4;b++) {
if(b==2) continue;
System.out.printf("a=%d, b=%d\n",a,b);
}
System.out.println("=============");
}
System.out.println("이중 for문 종료!");
/* a=2, b=0
a=2, b=1
a=2, b=3
=============
a=3, b=0
a=3, b=1
a=3, b=3
=============
이중 for문 종료!
*/
예1) 1~100까지의 합을 구하여라
int k=1;
int sum=0;
while(k<=100){
sum+=k;
k++;
}System.out.println("1~100까지의 합:"+sum);
예2) 1~100까지의 3의 배수 또는 5의 배수의 합을 구하여라
int sum=0;
for(int i=0;i<=100;i++){
if(i%3==0 || i%5==0)
sum+=i;
}System.out.println(sum);
예3) 예2의 합에서 최초로 200을 넘어가는 값을 구하여라
int sum=0;
for(int i=0;i<=100;i++){
if(i%3==0 || i%5==0){
sum+=i;
if(sum>200) break;
}
}System.out.println(sum);
< 1 >
=> 자바스크립트 구문 작성
변수 i, j에 대해 var를 붙여주지 않고 (선언하지 않고) 사용하게 된다면 이 변수는 전역변수 처럼 사용된다는 것을 유의!
< 2 >
< 3 >
< 4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메서드(매개변수O, 반환값O), 캡슐화, private, Setter Method, Getter Method (0) | 2021.01.06 |
---|---|
[JAVA]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 클래스, 메소드, 객체, 인스턴스, equals(), contentEquals() (0) | 2021.01.05 |
[JAVA]삼항연산자, 대입연산자, 강제형변환, 자동형변환, printf(), if~else, switch ~ case (0) | 2021.01.01 |
[JAVA]식별자, 예약어, 로컬변수, 인스턴스변수, 클래스변수, 자료형, 논리연산자, 비트연산자 (0) | 2020.12.31 |
[JAVA]실행원리 (0) | 2020.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