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작성

 

2. 반복문

조건에 따라 반복하여 실행된다

while, do~while, for

 

-while

int i=1;
while(i<=5)
	System.out.println("while구문 연습"+i++);
System.out.println("while 구문 종료");
//while구문 연습1
//  ,,,    연습5
//while 구문 종료

-do ~ while

 int i=1;
 do{
 	 System.out.println("do ~ while 구문 출력"+i);
     i++;}
 while(i<=5); //5번출력

-for

<형식> 

//(1)
for(int i=1;i<5;i++)
	System.out.println("(1)연습"+i);
//(2)
int i;
for(i=1;i<5;i++)
	System.out.println("(2)연습"+i);
//(3)
int i=1;
for(;i<5;i++)
	System.out.println("(3)연습"+i);
//(4)
int i=1;
for(;i<5;)
	{System.out.println("(4)연습"+i);
   	 i++;}

<무한루프>

//(5) while 무한루프
while(true)
//(6) for 무한루프 
for(;;)

 

ex1) 1~100까지의 홀수, 짝수 합 구하기

int even_sum=0;
int odd_sum=0;
for(int i=1;i<=100;i++) {
	if(i%2==0) even_sum+=i;
	else odd_sum+=i;
}
System.out.println("짝수합:"+even_sum+"홀수합:"+odd_sum);

 

ex2) 구구단 출력(이중 for문)

for(int i=1;i<10;i++) {
  System.out.println("<"+i+"단 입니다.>");
  {
    for(int j=1;j<10;j++)
      System.out.printf("%d * %d = %d\n",i,j,i*j);
   }
}

 

3. 탈출문

조건에 따라 탈출한다

break, continue, return

 

-break

for(int a=2;a<4;a++) {
	for(int b=0;b<4;b++) {
		if(b==2) break;
		System.out.printf("a=%d, b=%d\n",a,b);
	}
	System.out.println("=============");
}
System.out.println("이중 for문 종료!");

//b=2가 되는 순간 안쪽 for문을 탈출한다
/*	a=2, b=0
	a=2, b=1
	=============
	a=3, b=0
	a=3, b=1
	=============
    이중 for문 종료!
*/
	
//레이블이 있는 break문
//형식) 레이블명(대,소문자 구분):
A:
	for (int a=2;a<4;a++) {
		for(int b=0;b<4;b++) {
		if(b==2) break A;
		System.out.println("a="+a+",b="+b);
		}
	System.out.println("=============");
	}
	System.out.println("이중 for문 종료!");
    
/*
a=2,b=0
a=2,b=1
이중 for문 종료! */

 

-continue

어느 특정조건에 만족하는 continue문을 만나게 되면 continue문 이하 문장을 실행하지 않고  넘어간다

for(int a=2;a<4;a++) {
	for(int b=0;b<4;b++) {
	if(b==2) continue;
	System.out.printf("a=%d, b=%d\n",a,b);
	}
	System.out.println("=============");
}
System.out.println("이중 for문 종료!");
/*		a=2, b=0
		a=2, b=1
		a=2, b=3
		=============
		a=3, b=0
		a=3, b=1
		a=3, b=3
		=============
		이중 for문 종료!
*/	

 


예1) 1~100까지의 합을 구하여라

int k=1;
int sum=0;
while(k<=100){
	sum+=k;
    k++;
}System.out.println("1~100까지의 합:"+sum);

 

예2) 1~100까지의 3의 배수 또는 5의 배수의 합을 구하여라

int sum=0;
for(int i=0;i<=100;i++){
	if(i%3==0 || i%5==0)
    sum+=i;
}System.out.println(sum);

 

예3) 예2의 합에서 최초로 200을 넘어가는 값을 구하여라

int sum=0;
for(int i=0;i<=100;i++){
	if(i%3==0 || i%5==0){
    	sum+=i;
        if(sum>200) break;
    }
}System.out.println(sum);

 


 

< 1 >

=> 자바스크립트 구문 작성

변수 i, j에 대해 var를 붙여주지 않고 (선언하지 않고) 사용하게 된다면 이 변수는 전역변수 처럼 사용된다는 것을 유의!

 

< 2 >

 

< 3 >

< 4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