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t

변수를 선언할때 쓰는 es6문법으로

변수의 자료형을 쓰지 않아도 된다. 

*자료형을 쓴다면 타입스크립트 문법으로, 쓰지 않는다면 es6문법으로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타입스크립트 문법이 es6문법을 포함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var와 달리 let은 똑같은 변수를 두번 선언할 수 없다. 또한 블럭 내부에서 선언한 변수에 대해

var은 블럭 밖에서도 참조가 가능하지만, let은 블럭 외부에서 참조가 불가능하다.

let x:string="test";

 

 

const

상수를 선언할때 사용하며 객체에도 사용가능하다.

상수로 선언하면서 초기화를 동시에 해줘야하며, 중간에 값이 변경되지 못한다.

하지만 객체의 경우 값 변경이 가능한데, 그 이유는 객체의 경우 주소값이 변경되지 않고

내용만 변경되는 것이므로 가능하다.

일반 변수의 경우 값이 변경되면 그 값을 담은 주소값 또한 변경되므로 불가능하다.

const test=20
const obj={
	name:'kim',
    age:20,
    addr:{
    	city:'Seoul'
    }
}
//test=10//불가능
obj.name='Oh'

 

 

템플릿 리터럴( ` ` )-백틱문자열

작은 따옴표(''), 큰 따옴표(""), 줄바꿈 모두 혼용해서 사용가능하다.

줄바꿈의 경우 입력한 그대로 적용된다.

*출력형태의 경우(${}) 백틱문자열 안에 넣어야된다

console.log(`이름은 ${name}입니다.`)
//수식 가능
console.log(`1+1=${1+1}`)
//함수 가능
console.log(`Hello ${name.toUpperCase()}`)

 

 

arrow function

형식) let / const

let test=function(x:number){  //(int x)
    return x*x;
}
console.log(test(10));//100
/*
  const.
  함수의 내용이 한문장이상 ->{ } 처리 ,매개변수 한개 이상이면 ->( )처리
  매개변수의 자료형을 쓰지 않아도 괜찮지만 자료형을 쓰는 것이 권장사항
*/
const test2=x=>x*x;
console.log(test2(20));//400

 

 

비교연산자 ===, !==

var str:string[]=["t1","t2","t3"]
for(var i=0;i<=str.length;i++){
    if(str[i]==="t1"){
        console.log('데이터 찾음=>',str[i]);
    }else{
        console.log('데이터 못찾음=>',str[i]);
    }
}

 

 

indexOf함수

특정값이 존재하는지 여부

var str:string[]=["t1","t2","t3"];
var isExist=(str.indexOf("t2"));
console.log('isExist=>',isExist);
//isExist=>1

 

 

filter함수

json객체 중 특정값만 추출

var arr=[{"name":"test1","count":3},
         {"name":"test2","count":1},
         {"name":"test3","count":4},
         {"name":"test2","count":7}
         ];
var newArr=arr.filter(function(item){
    return item.name === 'test2'
})
console.log('Filter result=>',newArr);
//Filter result=> [ { name: 'test2', count: 1 }, { name: 'test2', count: 7 }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