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타입

varchar2(10) vs char(10)

varchar2(10)   유동적인 길이를 가진 문자열을 저장할 때 사용한다.  varchar2(10)의 경우 한글 5자, 영문 10자의 공간을 제공하는데
  한글3자만 저장이 되었을 경우 자동으로 나머지 공간은 줄어든다.(공간의 낭비가 x)
char(10)   고정 길이를 가진 문자열을 저장할 때 사용한다.
  데이터를 저장하고 남은 공간은 그대로 존재한다.(공간의 낭비o)

 

데이터의 확대/축소

해당 칼럼에 자료가 없는 경우 - 칼럼의 데이터타입 변경 가능(number <-> varchar2)
- 칼럼의 크기 확대,축소 가능(char(5)<->char(10))
해당 칼럼에 자료가 있는 경우 - 칼럼의 데이터타입 길이만 확대 가능
- 칼럼의 크기 확대 가능(char(5)->char(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