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p프로젝트를 만들면서 헷갈렸던 개념을 정리해놓은 글입니다.
- resultSet에 저장된 데이터 가져오기
ResultSet rs=pstmt.executeQuery();
rs.getString(“컬럼명”); -> 값이 반환됨(String)
rs.getInt(“컬럼명”); -> 값이반환됨(int)
컬럼명 대신 컬럼순서를 적어도 가능하다
- 순서 조심
<%
request.setCharacterEncoding("utf-8");
%>
<jsp:useBean id="mem" class="hewon.MemberDTO" />
<jsp:setProperty name="mem" property="*" />
-> 위의 순서가 바뀌면 한글이 깨짐
- JSP connection.setAutoCommit(false/true);
con.setAutoCommit(false);
...
con.commit();
JSP에서 오토커밋 메소드의 기본값은 true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트랜잭션처리를 위해 (잘못 삭제한 경우 되돌리기 위하여)
오토커밋을 false로 해주고 에러가 없다면 commit을 실행한다
ex) 회원가입은 성공했지만 로그인이 안되는 경우 메모리에 반영 되지 않아
생긴 에러일 수 있으므로 커밋을 실행해본다
- select태그의 option
동적으로 변하는 데이터값을 받아와 option값으로 설정해주기
DTO객체인 mem으로부터 동적으로 job의 값을 전달받아와,
해당 폼인 Form_mem의 select의 value값에 넣어주는 스크립트를 작성한다
<select name=job>
<option value="0">선택하세요.
<option value="회사원">회사원
<option value="학생">학생
<option value="사업가">사업가
<option value="무직">무직
<option value="기타">기타
</select>
<script>
document.Form_mem.job.value="<%=mem.getJob()%>"
</script>
- 직접 입력받지 않고도 파라미터값을 함께 전달하기
hidden 객체 이용
submit 타입은 form 안의 모든 파라미터를 전달해준다
그러므로 hidden 타입의 파라미터 또한 위치에 상관없이 form안에 존재한다면 함께 전달된다
<form name= ... >
...
<input type="submit" value="수정완료">
<input type="reset" value="다시쓰기">
...
<input type="hidden" name="id" value="<%= mem.getId()%>">
</form>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jsp 게시판 답글 달기, 페이징 처리 용어 정리 (0) | 2021.02.17 |
---|---|
[JSP]DTO, DAO, 회원탈퇴 흐름 (0) | 2021.02.16 |
[JSP]jsp 프로젝트 우편번호 검색, DB설정(ORACLE) (0) | 2021.02.10 |
[JSP]html input타입 hidden, self.close(), opener.close() (0) | 2021.02.09 |
[JSP]JDBC(oracle/mysql) (0) | 2021.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