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figuration,@Bean
-> 전체적인 환경설정에 관여하는 어노테이션.
@Controller
컨트롤러 역할로 선언.
@Repository
빈으로 등록시켜주는 역할을 하는데, dao역할을 하는 클래스에게만 선언할 수 있다.
즉 스프링 컨테이너에게 db와 관련되어 dao역할을 하는 클래스라는 것을 알려준다.
해당 클래스 위에 @Repository를 선언하고, xml파일에서는 따로 설정해주지 않아도 된다.
@Service("빈의 id값")
컨트롤러와 DB사이의 중간역할을 하는 클래스에게 부여하여 자동으로 빈으로 등록시켜준다.
id값(빈즈 구분자)을 부여한다.
@Component
빈으로 자동 등록시켜주는 역할. xml파일에서 context namespace를 추가해야 하며, 빈즈를 등록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xml파일에 context:component-scan를 선언했다면, context:annotation-config을 선언하지 않아도 된다.
베이스 패키지를 설정해줘야 하며, 그 범위 내에서 @Component가 선언된 클래스에 대해서 적용된다.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스프링 command객체 (0) | 2021.04.15 |
---|---|
[Spring]AOP개념, 관련 용어 (0) | 2021.04.15 |
[Spring]component-scan, annotation-config 차이점 (0) | 2021.04.08 |
에러) The superclass "javax.servlet.http.HttpServlet" was not found on the Java Build Path (0) | 2021.04.08 |
[Spring]Mybatis 개념, 특징(+jdbc) (0) | 2021.04.05 |